비트코인도 가끔 '갈라져' 새로운 코인이 생기곤 해요. 이를 ‘하드포크(Hard Fork)’라고 부르죠. 이번 글에서는 비트코인의 대표적 하드포크인 ‘비트코인 캐시’와 ‘비트코인 골드’가 어떻게 생겨났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간단하지만 핵심만 쏙쏙 알려드릴게요! 🔀
1️⃣ 하드포크란 무엇인가?
블록체인에서 '포크(Fork)'란 말 그대로 기존 체인에서 갈라지는 현상을 뜻해요. 이는 주로 소프트포크(Soft Fork)와 하드포크(Hard Fork) 두 가지로 나뉘어요.
📌 소프트포크 vs 하드포크
- 소프트포크는 기존 블록체인 규칙을 일부 수정하되, 기존 노드와의 호환성이 유지되는 방식이에요.
- 반면, 하드포크는 새로운 규칙을 적용하면서 기존 체인과의 호환성을 완전히 끊는 구조예요.
즉, 하드포크는 블록체인의 '업그레이드' 또는 '분열'로, 기존 체인과 별개의 체인이 생기는 걸 의미해요.
📌 왜 하드포크가 발생할까?
- 기술적 한계 해결: 블록 크기 제한, 속도 개선 등
- 철학적 차이: 탈중앙성, 채굴 방식, 수수료 구조 등
- 커뮤니티의 의견 불일치: 핵심 개발자들과 사용자 간의 갈등이 클 때
👉 하드포크는 단순한 기술적 결정이 아니라, 철학과 방향성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중요한 사건이에요.
2️⃣ 비트코인 하드포크 역사 – 주요 사례 살펴보기
비트코인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하드포크는 비트코인 캐시(BCH)와 비트코인 골드(BTG)예요. 둘 다 2017년에 발생했지만, 목표와 방식은 전혀 달랐어요.
📌 2017년 8월 – 비트코인 캐시(BCH) 하드포크
- 기존 비트코인의 1MB 블록 크기로는 거래 속도와 수수료 문제가 발생했어요.
- 이에 반발한 일부 커뮤니티는 블록 크기를 8MB로 늘린 새로운 체인(BCH)을 출범했어요.
- 목표는 ‘일상 결제에 적합한 비트코인’을 만드는 것이었죠.
📌 2017년 10월 – 비트코인 골드(BTG) 하드포크
- 비트코인 채굴이 점점 전문 ASIC 장비에 독점되는 상황이었어요.
- 이에 반발한 개발자들이 ‘일반 사용자도 채굴할 수 있게 만들자’는 취지로 BTG를 출범했어요.
- ASIC을 막기 위해 채굴 알고리즘을 SHA-256 → Equihash로 변경했죠.
👉 이처럼 같은 비트코인에서 출발했지만, 각각 다른 목적과 기술적 접근으로 갈라진 것이 하드포크의 본질이에요.
3️⃣ 비트코인 캐시(BCH)란? – 등장 배경과 특징
비트코인 캐시는 2017년 8월 1일, 블록 크기 제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트코인에서 분리된 하드포크 체인이에요.
📌 등장 배경
- 1MB 블록 크기로는 거래량 급증을 감당하지 못해, 전송 지연과 수수료 상승이 발생했어요.
- ‘비트코인을 디지털 현금으로 쓰자’는 원래의 철학을 지키기 위해, 블록 크기를 8MB로 늘린 BCH가 출범했어요.
📌 주요 특징
✅ 빠른 거래 처리: 블록 크기가 커져 더 많은 트랜잭션을 처리 가능
✅ 낮은 수수료: 전송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 일상 결제에 적합
✅ 기존 비트코인과 유사한 채굴 방식: SHA-256 알고리즘 사용, ASIC 채굴기 활용 가능
📌 BCH의 철학
- BCH 커뮤니티는 ‘확장성을 위한 온체인 해결책’을 지지해요.
- 블록 크기 확장을 통해 비트코인을 빠르고 저렴한 결제 수단으로 만들자는 목표를 갖고 있어요.
👉 비트코인 캐시는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이 되어가는 방향에 대해, 일상 속 디지털 화폐로서의 역할을 추구하는 또 다른 해석이에요.
4️⃣ 비트코인 골드(BTG)란? – 왜 또 다른 하드포크가 나왔을까?
비트코인 골드는 2017년 10월, 비트코인 채굴의 중앙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어요.
📌 등장 배경
- 비트코인 채굴은 대부분 고성능 ASIC 장비를 보유한 대형 채굴업체에 의해 독점되고 있었어요.
- 이런 구조는 ‘탈중앙화’라는 비트코인의 철학에 어긋난다고 본 개발자들이, 누구나 쉽게 채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새로운 체인을 만들었어요.
📌 주요 특징
✅ 채굴 알고리즘 변경: SHA-256 → Equihash로 변경해 ASIC 장비 사용을 어렵게 함
✅ GPU 채굴 지원: 일반 사용자도 GPU 그래픽카드만 있으면 채굴 가능
✅ 보안 강화: 하드포크 당시 리플레이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고유 체인코드 적용
📌 BTG의 철학
-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공정한 채굴 환경 조성
- 중앙화된 채굴 구조를 완화하고, 분산형 블록체인 생태계 유지를 목표로 해요.
👉 BTG는 채굴 방식에 있어 ‘포용성과 민주성’을 강조한 프로젝트라고 볼 수 있어요.
5️⃣ BCH vs BTG – 무엇이 어떻게 다를까?
BCH와 BTG는 모두 비트코인에서 갈라져 나왔지만, 추구하는 방향과 기술적 선택은 매우 달라요.
📌 기술적 차이
- 블록 크기: BCH는 8MB 이상으로 확장, BTG는 비트코인과 유사
- 채굴 알고리즘: BCH는 SHA-256, BTG는 Equihash
- 채굴 장비: BCH는 ASIC 중심, BTG는 GPU 채굴 가능
📌 커뮤니티 및 사용자 대상
- BCH: 거래 수수료와 속도에 민감한 사용자, 결제 중심의 프로젝트 선호자
- BTG: 탈중앙화, 채굴 민주화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커뮤니티 지향
📌 시장 가치 및 현재 상황
- BCH는 여전히 시가총액 상위권에 있는 메이저 코인으로 거래소에서 활발히 거래돼요.
- BTG는 비교적 활동은 줄었지만, 채굴과 블록체인 철학 측면에서 여전히 의미를 갖고 있어요.
👉 결국 두 프로젝트 모두 ‘비트코인’의 정체성과 미래에 대한 각자의 해석에서 출발했고, 사용자와 투자자의 선택은 그 철학과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비트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8. "비트코인 보안 꿀팁 – 해킹 방지를 위한 필수 체크리스트 🔐" (1) | 2025.03.29 |
---|---|
₿ 1-7. "비트코인 월렛 추천 – 콜드월렛 vs 핫월렛 🔐" (0) | 2025.03.28 |
₿ 1-5. "비트코인 반감기란? – 가격 급등하는 이유 & 공급 변화 분석 📉" (0) | 2025.03.25 |
₿ 1-4. "비트코인 2,100만 개 한정? – 희소성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 💎" (0) | 2025.03.24 |
₿ 1-3. 비트코인은 어떻게 채굴될까? – 2025년 4차 반감기 이후 채굴 원리 & 수익성 분석⛏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