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59) 썸네일형 리스트형 트럼프 일가의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은? (f.트럼프가 암호화폐 정책을 발표하지 않은 이유) 트럼프 대동령과 그의 가족들은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 WLFI)을 보유 하고 있으며,최근 그 행보에는 암호화폐의 추가 매입을 하고 있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46030 미국 대통령 트럼프,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이 산 암호화폐는? '이더리움, 트론, 체인링크' 등 4680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후원하는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이 3일간 700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추가 매입하며 총 보유 자산을 3억2500만 달러(한화 약 4680억 원)로 확대했www.blockmedia.co.kr 온체인 분석업체 아캄 인텔리전스(Arkham Intelligence)에 따르면, 월.. 2025년 비트코인의 방향은? 비트코인의 4차 반감기가 '24년 4월에 있은 후, 그로부터 6개월 뒤가 폭발적인 상승장이 시작되는데 올해는 트럼프의 선거와 맞물려서 조금 늦게 시작했다.현재 100k를 기점으로 힘있게 상승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시 점검이 필요해 보인다. 1. 미국경제는 안 좋을 것(→ 틀림)이 생각은 지난 6개월동안 계속 갖고 있었고 미국 주식은 전량 매도하고 관망하기 시작했다. 반면, 금리정책 변화, 실업률 발표에 따른 우려 등으로 '24년 11월,12월은 역대급의 수익을 올렸지만, 엊그제 1월 10일 실업률이 예측치보다 더 좋게 나오면서, 국채금리 급등에 의한 주식 하락으로 운좋게 수익을 얻었다. 그러나, 이제는 아니다. 미국경제는 아직까지 좋다. 다만, 2023년, 2024년 쉼없이 달려온 주가가 밸류에 .. 2025년 1,2,3월 거시경제 예상 및 매수종목 1. 글을 쓰는 목적우선, 이 게시물을 작성하는 목적은 내 생각을 좀더 확고할 수 있도록 논리를 보완하기 위함이다. 2. 2024.11.1. 3개월 뒤 예측에 대한 평가3개월 뒤 시장을 얼마나 맞출까(2024.11.01.기준) 아직 2달정도 지난 시점이지만, 정확한 평가는 한달 뒤 다시 하는 걸로 하고, 지금 시점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만 작성하려 한다. 2024.11.1.에 작성한 예측1. 인플레이션 증가2. 실업률 증가3. 국채 금리는 현재4.3%보다 높을 것4. 금은 지금보다 상승할 것인데 슬슬 고점일 것5. 한국주식은 바닥을 찍고 조금 반등해 있을 것6. 엔화는 현재 153달러/엔인데 130 이하로 내려 올 것7. 미국 조정이 오고 있지만 바닥이 아닐 것 현재(2024.12.26.)2달이 지난 시.. jyp Ent. 2025년 실적 기대해 볼만하다. 1. 배경 - 최근 원화가치가 금락하고 금투세 주주가치 훼손 등 국내시장이 저평가- 반면 미국 주식은 GDP대비 S&P500이 연일 최대가- 국내 코스피 PBR은 0.85로 역대급 낮은 편 - 과거대비 국내 코스피의 가치가 많이 훼손되었다고 할지라도 상당히 저평가로 판단.- 국내 주식을 비관적으로 보는 이유의 첫 번째는 출산율- 두번째는 주주가치 훼손 따라서 국내 주식을 고르는 첫번째 기준은 수출 중심의 기업JYP의 경우 2024.12.20. 기준 국내 섹터 및 개별주식의 수익 비율눈에 띄는 섹터는 조선이 가장 크고, 그다음 미디어 엔터 2. JYP엔터테인먼트의 아티스트 트와이스, 스트레이키즈, DAY6, ITZY 등 3. 엔터테인먼트는 홀수년에 매출이 좋다. 그 근거는 짝수년에 국제.. 3개월 뒤 시장을 얼마나 맞출까(2024.11.01.기준) 지금 내가 바라보는 주식시장, 현재 포지션, 앞으로의 포지션이 어떻게 변화고 수익률이 얼마나 되는지, 어떤 예측이 맞고 어떤 예측이 틀리는지 기록에 남기고 싶다. 특히 틀렸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글로 남겨서 같은 실수를 반복하고 싶지 않다. 2달전 내 생각과 틀린점1. 트럼프가 당선 될 것이고, 주식시장은 하락할 것이다. 내 예측1. 인플레이션 증가2. 실업률 증가3. 국채 금리는 현재4.3%보다 높을 것4. 금은 지금보다 상승할 것인데 슬슬 고점일 것5. 한국주식은 바닥을 찍고 조금 반등해 있을 것6. 엔화는 현재 153달러/엔인데 130 이하로 내려 올 것7. 미국 조정이 오고 있지만 바닥이 아닐 것 1. 인플레이션은 증가할 것이다.sticky 인플레이션은 감소하고 있다.(후행지표)그러나.. 2001년부터 현재까지 금 수익률 분석 서론앞서 포스팅에서 현재 유동성이 감소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였고, 트럼프 당선이 유력해지면서, 관세 부과에 따른 인플레이션 상승, 국채 추가 발행이 예상되어 국채 금리가 올라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현재 자산이 어디에 있어야 하는지, 앞으로 어디로 흘러가는 지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 채권과 금, 금리와 인플레의 상관관계 금리↑금리↓인플레↑인플레↓채권↓↑↓↑금↓↑↑↓ 위 표는 자산이 어디에 있어야 하는지 일반적인 상황을 나타낸 것입니다.채권의 경우 만기를 채울 경우, 기대수익률이 낮아지므로 현 시점의 채권 값어치는 높아질 것입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이 증가한다면, 미래에 받게될 돈의 값어지가 현재보다 낮아질 것이므로 채권가격은 하락합니다. 반대로, 금의 경우, 돈의 값어치가 낮아지면 금값은..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 과연 일시적일까? 최근 10년물 금리 상승9월 16일 FOMC회의에서 빅컷을 이하한 후 10년물 국채 금리는 3.6%에서부터 4.28%까지 올랐습니다. 금리가 계속 하락할 꺼라는 기대에 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했는데 거꾸로 국채금리가 올라버려서 손실을 입은 투자자 들이 많을 것입니다.일각에서는 4.3%~4.5%가 마지노선이라고 하는데 과연 그럴까 하는 의구심이 듭니다.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10년물 금리가 상승했던 배경에는 트림프의 당선 유력, 트럼프 당선 시 관세 부과에 따른 인플레이션 증가, 대규모 국채 발행에 따른 가격하락(금리상승)입니다.여기에다가 2024년 옐런이 역레포 계좌를 활용하여 발행한 단기채가 연준이 시행하는 양적긴축 금액보다 더 많아져서 인플레이션 상승 기대감이 있습니다.양적 긴축에 따라 유동성이 감.. 실질금리 구간에 따른 자산 선택 방법 실질금리란?명목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차감한 금리를 말합니다. 이는 돈의 실제 구매력을 반영한 금리로, 투자자나 소비자가 일정 기간 동안 얻는 수익의 실질적인 가치를 측정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실질금리 = 명목금리 - 인플레이션율" 실질금리는 투자자들이 경제 환경에서 자산의 실질 수익률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명목금리가 높더라도 인플레이션율이 높으면 실질 수익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실질 수익을 확인해야 합니다. 실질금리는 소비자들이 저축이나 대출 결정을 내릴 때 중요한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은행 이자가 3%라고 하더라도, 인플레이션율이 4%라면 실제로는 돈의 가치가 줄어드는 셈이므로 소비나 투자로 자금을 돌릴 가능성이 커집니다. 중앙은행과 정부는 실질금..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