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요약 - 기준금리vs명목금리vs실질금리
구분 | 기준금리(정책금리) | 명목금리 | 시장금리 |
정의 | 중앙은행이 정책적으로 정하는 금리 | 시장에서 표시되는 '표면 금리' |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
주체 | 중앙은행 | 시중은행, 금융시장 | 계산되는 수치 (명목금리와 CPI 등 반영) |
목적 | 통화정책 방향 설정 | 금융상품 거래 기준 | 자산의 실제 구매력 측정 |
영향 | 명목금리에 직접 영향 | 실질금리 결정 요소 중 하나 | 소비, 투자 결정에 실질적인 판단 기준 |
1. 기준금리란? – 중앙은행이 움직이는 대표 금리
📌 기준금리(정책금리)의 정의
기준금리(정책금리)는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금융시장의 전반적인 금리
쉽게 말해, 돈의 '기준 가격'이라고 보면 돼요! 🧭
이 금리를 올리거나 내리면 시장 전반의 이자율도 따라서 움직이기 때문에, 경기 조절의 가장 강력한 도구 중 하나랍니다.
🏦 한국은행·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역할
한국에서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설정하고, 미국에서는 연방준비제도(Fed)가 이를 담당해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면, 시중은행의 예금·대출 금리도 함께 오르는 구조예요. 미국의 기준금리는 글로벌 금융시장에까지 영향을 미치죠! 🌍
📈 금리 인상·인하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
금리를 인상하면 대출이 줄고 소비가 위축돼 물가가 잡히는 효과가 있어요. 반대로 금리를 인하하면 소비와 투자가 활성화되죠. 그래서 중앙은행은 경기 상황에 따라 기준금리를 조절하며 통화정책을 운영해요. 📊
2. 명목금리란? – 우리가 실제로 보는 표면 금리
💡 명목금리의 의미
명목금리는 은행 예금이나 대출 상품에서 우리가 실제로 접하는 '표면적인 금리'
🍽️ 비유하자면, 명목금리는 음식 메뉴판에 적힌 가격이에요. 물가나 세금은 반영되지 않은 '겉보기 가격'이라는 점, 기억해두세요!
🏦 예금, 대출, 채권 등 실생활 속 명목금리
- 은행 예금 이자율, 주택담보대출 금리, 국채 수익률 등은 모두 명목금리에 해당돼요. 우리가 실생활에서 직접 체감하는 금리는 전부 여기에 포함되죠. 그래서 명목금리는 소비자들에게 가장 친숙한 금리 개념이에요. 💳💵
- ✅ 금융시장에서는 미국채 10년물 금리를 명목금리로 적용해요
https://fred.stlouisfed.org/graph/?g=1HYKo
3. 실질금리란? –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개념
📉 실질금리의 의미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을 뺀 것
실질금리는 내 자산의 실제 '구매력 변화'를 보여주는 금리예요. 단순히 예금 이자가 몇 퍼센트냐보다 중요한 게, 그 이자가 물가 상승률을 감안했을 때도 의미 있는가 하는 점이죠.
예를 들어, 명목금리가 5%인데 물가가 4% 올랐다면 실질금리는 1%예요. 반대로, 명목금리가 3%인데 물가가 5% 오르면 실질금리는 -2%로, 오히려 손해인 셈이죠. 🧐📊
https://fred.stlouisfed.org/graph/?g=1HYJX
4. 중립금리란?
"중립금리란? – 경기를 흔들지 않는 금리의 정체와 통화정책의 기준"
💡 실질금리의 중요성
투자자나 소비자는 실질금리를 통해 경제의 실제 체감 경로를 판단해요.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면 대출은 유리하고, 예금은 손해일 수 있어요. 그래서 중앙은행도 통화정책 설계 시 실질금리를 참고해요. 💰📉
🔍 인플레이션 지표 쉽게 이해하기(CPI, Core CPI, PPI, PCE, GDP디플레이터 등)
📖 함께 보면 좋은 글
🔍 필립스 곡선이란? –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의 상관관계를 설명한 경제 이론
🔍 YCC란? – 수익률곡선제어(Yield Curve Control) 정책 완전 정리 📉🏦
'거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적긴축(QT)이란? – 중앙은행의 유동성 회수 전략 완전 정리 (0) | 2025.04.16 |
---|---|
경기 사이클 4단계란? 회복·확장·둔화·침체 흐름과 경제지표 총정리 📈📉 (0) | 2025.04.15 |
GDP, GNP, 실질·명목 GDP 차이까지 – 경제지표 완전 정리! 🔍 (0) | 2025.04.14 |
캐리 트레이드란? – 금리차를 활용한 글로벌 투자 전략 완벽 해설 (1) | 2025.04.13 |
크레딧 스프레드란? – 신용위험과 경기 불안을 읽는 금리 차이 지표 정리 💰📉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