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41)
[Python] 백준 10952 A+B -5 코드 작성 while True: # True에서 T는 반드시 대문자로 표기 a,b = map(int, input().split()) if a==0 and b==0: break else: print(a+b) 코드 풀이 #1 while문 작성시 순서가 정말 중요하다. a,b의 값을 정수(int)로 통일되게(map) 띄어쓰기로 구분(split)하여 작성하는데 a,b의 값이 각각 0이면 while문을 종료(break)한다. 그렇지 않으면(else), a와 b의 합을 출력(print)한다. #2 while문 작성시 유의사항은 True는 대문자로 작성해야 한다.
[Python] 백준 2439 코드 작성 1 n = int(input()) for i in range(1,n+1): print((n-i)*" ", i*"*", sep='') 코드 작성 2 n= int(input()) for i in range(1,n+1): print(" "*(n-i) + "*"*i) 코드 풀이1 #1 총 5개의 칸 중에 첫줄에는 띄어쓰기 4칸, 별(*)1칸, 두번째 줄에는 띄어쓰기 3칸, 별(*)2칸이 주어진다. #2 for 문을 사용할 경우 for i in range(n)으로 하면 0부터 n까지의 범위가 된다. 따라서 for i in range(1, n+1)로 작성해야 i 가 1부터 n까지 구현된다. #3 sep=''의 경우 sep : seperate의 약자이다. 즉 print문에서 콤마(,)로 각 변수를 구분하는..
[Python] 백준 2438 별 찍기 -1 코드 작성 n = int(input()) for i in range(1,n+1): print('*'*i) 코드 풀이 #1 n 을 입력하고 별(*) n줄만큼 반복한다. for i in range(n): 에서 i는 0부터 시작하여 1씩 증가하므로 범위를 range(1, n+1)로 설정한다. 그리고 i의 숫자만큼 별(*)을 곱해서 출력한다.
[Python] 백준 10824 네 수 코드 작성 a,b,c,d = map(int, input().split()) k = '' j = '' for i in str(a): k += i for i in str(b): k += i for i in str(c): j += i for i in str(d): j += i print(int(k)+int(j)) 코드 풀이 #1 각각의 수를 문자열로 입력 받아야 한다. a와 b의 각각의 수를 k라는 문자열에 넣고, c와 d의 각각의 수를 j라는 문자열에 넣는다. 그리고 k, j의 문자를 숫자로 변환해서 더한 후 출력한다.
[Python] 백준 2743 단어 길이 재기 코드 작성 a = input() print(len(a))
[Python] 백준 1934 최소공배수 코드 작성1 n = int(input()) for _ in range(n): k =[] a,b = 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1,min(a,b)+1): if a%i == 0 and b%i == 0: k.append(i) print(a*b//max(k)) #a*b/max(k)로 연산할 경우 소수점 1자리가 붙는다 코드 작성2 import math n = int(input()) for _ in range(n): a,b = map(int, input().split()) print(math.lcm(a,b)) #lcm : least common multiple(최소공배수) 코드 풀이1 #1 a와 b의 수 중 작은 수로 for문을 1부터 a,b중 작은 수까지 돌리고, ..
[Python] 백준 2609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코드 작성1 a,b = map(int, input().split()) n = [] for i in range(1,min(a,b)+1): if a%i==0 and b%i==0: n.append(i) print(max(n)) print(int(a*b/max(n))) # int 사용이유 : 나누기를 사용할 때는 정확히 떨어져도 소수점이 생긴다. 코드 작성2 import math a,b = map(int, input().split()) print(math.gcd(a,b))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Devisor) print(math.lcm(a,b)) #최소공배수(Least Common Multiple) 코드 풀이1 #1 a와 b의 수 중 작은 수로 for문을 돌려서 나누어 떨어지는 수(n%i)를..
[Python] 백준 11022 A+B-8 코드 작성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1): #풀이2 a,b = map(int, input().split()) print(f'Case #{i}: {a} + {b} = {a+b}') #풀이1 코드 풀이 #1 f스트링을 사용하면 쉽게 표현 할 수 있다. f스트링은 f안에 작은따옴표를('') 2개 사용하고 중괄호({})를 작성하고 그 안에 변수를 넣는다. #2 for문 작성 시 변수 i 를 사용할때, 사용하지 않을 때로 나뉘는데 Case #{i}로써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변수 i를 지정하였다. #3 'for i in range(n):'로 입력할 경우 n 번을 반복하는데 이때 i의 시작은 0부터 시작한다. 따라서 출력되는 값에 첫 값이 0부터 나타난다. Case #1부터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