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39) 썸네일형 리스트형 지금 금을 투자해야 하는 이유(실질금리 = 명목금리 - 인플레기대치) 1. 금 투자의 기본 개념 🏅금은 인류 역사상 오랫동안 가치의 저장 수단과 화폐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현재도 경제적 불확실성이 증가할 때마다 금은 '안전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금 투자의 장점: 인플레이션 방어, 화폐 가치 하락 시 자산 보호, 장기적 안정성 등이 금 투자의 장점입니다. 특히 금융시장 변동성이 클 때 금은 안전한 피난처로 여겨집니다.금 투자의 단점: 금은 배당을 제공하지 않으며, 보관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격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단기적 손실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2. 금 ETF(상장지수펀드) 투자 방법 💰금 ETF는 금 가격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로, 실물 금을 보유하지 않고도 금 가격에 투자할 수 있는 금융 상품입니다.개념과 구조: 금 ETF는 금 가격을 기반으.. 2025년 경기 둔화 예상에 따른 투자대안(KBWY etf) 2024년 하반기, 2025 상반기 유동성 (tistory.com) 앞서 포스트를 했듯이 2025년 상반기 전망은 밝지 않다.연준의 긴축 대비 옐런의 채권 발행이 훨씬 많았고, 양적긴축에도 불구하고 시중의 유동성이 늘어나는 효과를 보였다. 반면 인플레이션은 계속 감소하고 있으나, 유동성이 늘어나는 시점부터 6~18개월 이후 인플레이션이 상승한다. 샴룰이라며 미국의 실업률이 서서히 증가하고 있고, 반도체 수요도 꺾였다. 경기가 둔화된다고 보는데, 여기에 더불어 인플레이션까지 상승한다면 스태그플레이션 얘기가 나올 것이다. 그렇다고 나는 침체까지 보진 않지만, 어느정도 조정이 있을 것이다. 그래서 대선이 끝나고부터 주식과 현금비중을 조정하려 한다. 며칠 전 FOMC회의에서 빅컷을 단행했다. 일부 업종들이.. 2024년 하반기, 2025 상반기 유동성 연준 대차대조표: 차변(자산_좌)과 대변(부채_우)SOMA + 대출 = 지준금 + 역레포 + TGA 지준금 = 역레포 + TGA - SOMA - 대출- SOMA : 연준이 보유한 국채 등- 대출: 시중은행에 빌려준 대출금-지준금: 시중은행이 연준에 예치한 준비금-역레포: 금융기관이 연준에 예치한 일시적 자금-TGA: 재무부가 연준에 예치한 자금 1. 정부가 채권을 발행한다.2-1. 정부가 채권을 시중은행에 판매한다.(지준금 감소, TGA 상승)2-2. 채권을 판매한 재정으로 지출한다(TGA 하락, 지준금 증가) 연준의 자산(좌, 차변)은 유지하는 상황에서, 미국은 단기채권 발행 시 역레포 계좌가 줄어들고 TGA계좌가 상승, 다시 지출을 늘리면 TGA계좌가 줄어들고 지준금이 늘어나서 유동성이 .. [매크로 시황] 옐런의 생각과 미국의 대선, 정치적 경제적 일치점, 모두 계획적 연준 대차대조표: 차변(자산_좌)과 대변(부채_우) SOMA + 대출 = 지준금 + 역레포 + TGA - SOMA : 연준이 보유한 국채 등 - 대출: 시중은행에 빌려준 대출금 -지준금: 시중은행이 연준에 예치한 준비금 -역레포: 금융기관이 연준에 예치한 일시적 자금 -TGA: 재무부가 연준에 예치한 자금 1. 정부가 채권을 발행한다. 2-1. 정부가 채권을 시중은행에 판매한다.(지준금 감소, TGA 상승) 2-2. 채권을 판매한 재정으로 지출한다(TGA 하락, 지준금 증가) 연준의 자산(좌, 차변)은 유지하는 상황에서, 미국은 단기채권 발행 시 역레포 계좌가 줄어들고 TGA계좌가 상승, 다시 지출을 늘리면 TGA계좌가 줄어들고 지준금이 늘어나서 유동성이 확대됨. 현재, TGA잔액이 3분기 목표치를 밑돌.. 투자 실패를 부르는 손실 회피 심리, 이렇게 극복하세요! 1. 서론: 손실 회피란 무엇인가?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가 투자할 때 자주 겪는 심리적인 함정 중 하나인 **손실 회피(Loss Aversion)**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 😊 손실 회피는 말 그대로 손실을 피하려는 경향을 뜻해요. 사람들이 같은 금액의 이익보다 손실에 대해 더 크게 반응한다는 심리적 특성이죠.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잃는 것에 대한 감정적인 고통이 100만 원을 버는 기쁨보다 훨씬 더 크게 느껴진다고 해요. 😥 이 심리적 반응은 투자 결정을 할 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요, 때로는 비합리적인 결정을 내리게 만들기도 해요. 이 글에서는 손실 회피가 투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 살펴볼 거예요! 2. 행동 경제학에서 손실 회피의 역.. 선진 기술에 깨어있어야 하는 이유(f.친척 할아버지와 예초기) 주변에 농사지으시는 친척할아버지, 고모부, 친구 아버지 등 여러 명이 있다. 농사도 사업의 일종이라서 머리를 잘 써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내야 한다. 친구 아버지는 마을에서 가장 부자이시다. 10여년전 친구가 자신의 집안 자산이 30억정도라 했는데 지금은 100억이 넘을 듯 하다. 친구 아버지께서는 초등학교만 나오시고 공부에 배움이 짧으셨다. 그런데 친구가 어릴때 마을에 유일하게 트랙터를 사셨고 마을 사람들은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며 밭을 갈아달라고 부탁하셨다고 한다. 고모부는 귤 농사를 지으시는데 귤은 보통 가을~ 겨울에 수확한다. 그러나 고모부네 하우스 귤은 진지향이라는 품종인데 4월쯤에 수확한다. 그래서 귤의 공급이 적은 시기에 납품을 하시면서 큰 수익을 얻는다. 반면 친척할아버지는 기.. [반전주의]CNN Fear & Greed Index를 활용하여 주식 매도.매수 타이밍 전략 1. CNN Fear and Greed Index란? 🧐https://edition.cnn.com/markets/fear-and-greed Fear and Greed Index - Investor Sentiment | CNNIt’s useful to look at stock market levels compared to where they’ve been over the past few months. When the S&P 500 is above its moving or rolling average of the prior 125 trading days, that’s a sign of positive momentum. But if the index is below twww.cnn.com 오늘은 CNN에서 .. 🏥 경기 사이클을 고려한 XLV 투자 전략: 헬스케어 섹터의 안정성과 성장성 활용하기 📈 1. 서론 📝 오늘은 XLV에 대해 써보려고 한다. XLV는 미국 헬스케어 섹터에 집중 투자하는 ETF로, 경기 사이클을 고려한 투자에 특히 유리한 종목이다. 요즘 경제가 다소 불안정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섹터 중 하나가 바로 헬스케어 섹터인데, 그 이유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알아보려고 한다. 우선, XLV는 S&P 500 헬스케어 섹터를 추종하는 ETF다. 헬스케어는 경기 방어적인 특성을 지닌 섹터로,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을 때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다. 그래서 최근 경제 상황을 고려했을 때, XLV가 좋은 투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경기 사이클을 살펴보면, 헬스케어 섹터는 경제가 확장기에서 수축기로 전환될 때 특히 강한 모습을 보인다. 경기가 좋을 때도 꾸.. 이전 1 2 3 4 5 6 7 8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