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

(59)
2024년 미국 대선에 따른 주식시장의 판도(f. 비관론자) 며칠전에 미국 주식시장에 관한 의견을 작성하였다https://tkaghks1.tistory.com/m/entry/%EC%A3%BC%EC%8B%9D%EC%8B%9C%EC%9E%A5%EC%9D%98-%EC%97%AD%EB%8C%80%EA%B8%89-%ED%95%98%EB%9D%BD-%EB%82%B4-%EC%9E%85%EC%9E%A5%EC%9D%80-%EA%B2%AC%EA%B3%A0%ED%95%98%EB%8B%A4 주식시장의 역대급 하락, 내 입장은 견고하다주식시장이 역대급 폭락을 기록했다. 특히 우리나라, 일본, 대만의 폭락이 컸고, 시장에서 보는 상황은 엔케리트레이드 청산이라고 본다. 일본의 금리가 0.1%에서 0.25%로 올라가며 일본에서 대출tkaghks1.tistory.com그때까지만해도 바이든보다 ..
주식시장의 역대급 하락, 내 입장은 견고하다 주식시장이 역대급 폭락을 기록했다. 특히 우리나라, 일본, 대만의 폭락이 컸고, 시장에서 보는 상황은 엔케리트레이드 청산이라고 본다. 일본의 금리가 0.1%에서 0.25%로 올라가며 일본에서 대출받아 다른 나라로 투자됐던 돈이 청산됐다고 보는 것이다. 그 청산이 역대급 폭락을 키웠을까? 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현재 전세계 분위기가 안좋다. 이 이유는 1. 미국이 대선을 위해 천문학적인 국채를 발행하고, 재정지출로 썼다. 이제는 국채를 사 줄 국가가 없다.2. 미국의 신용카드 연채율이 역대급으로 높으며, 팬데믹 이후 받았던 돈을 모두 소비했다. 이제는 소비를 줄여야 할 때라서 경기 부양이 어렵다.3. 엔화 약세로 인해 일본 정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는 달러매도(국채매도)를 못하기 때문에 금리를 인상한다..
2024년 하반기(8,9,10월) 자본시장 전략 - AI에서 자금이 많이 빠져 나가고 유동성이 많이 심해지고 있음. 엔비디아가 하루 등락폭이 너무 큼. 뿐만아니라 반도체 역시 7%나 빠짐.- 지난주에 주식의 60%를 현금화했고, 국내주식은 하나도 없어서 타격이 그리 크진 않음.- 다만 올해 4월?부터의 수익률은 다 반납한듯..- 6년 들고 있던 엔비디아 이번에 3번째 익절.  >🎈 일본의 고민  > (엔저 방치시) 물가 급등, 실질임금 감소🎈 해결책(1) > (달러를 팜) 즉, 미국채 팔아야 함 > 미국의 시장금리 상승 > 미국 대선에 큰 영향🎈 해결책(2)>  (금리인상) 엔케리트레이드때문에 일본에 대출받고 전세계 투자하던 자본이 다시 일본으로 흘러들어감 > 전세계 자산 축소 > 한꺼번에 자금 청산 > 엔화가치 폭등🎈🎉해결책 (2-1)> 금..
나의 소중한 돈을 베팅한 팔란티어의 특별한 장점 3가지 서론과거의 주식투자를 할 때 최대한 많은 '좋은' 요소들을 찾아서 투자했다.가령 비즈니스의 모델, 자산현황, 부채, 벨류에이션 등 내가 찾지 못하는 숨은 요인들이 있나 하며, 온갖 자료들을 찾았다.시간이 지나면서 일부 매력을 느끼는 요소들이 그렇지 않아지게 되면서도 주식을 매도하지는 못했다. 그 결과 이제 내 투자스타일은 본질적인, 큰 요소들만 고려하는 방법으로 접근하기 시작했다. 그것이 크게 3가지로 압축되었다.(1) 트럼프 성향(2) AI 3단계 소프트웨어(3) CEO인 알렉스 카프는 마르크스 사회주의자  본론1팔란티어의 개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을 한다면시가총액: $57B(76조원, '24.7.4.기준)의결권: 창업자 피터 틸, 알렉스 카프, 스티븐 코헨이 class F의 주식을 보..
2024년 하반기, 돈은 어디로 흐를까 개별종목위주로 주식투자를 하다가 본격적으로 거시경제, 지표들을 보면서 일부 기록에 남긴다. (현재상황)미국 대선을 위해 바이든 정부는 재정을 확대하고 있다.(1) fed의 재무부 tga계좌 금액 감소(2) QT축소(600 → 250)(3) 바이백 - 단기채 발행을 늘려 장기채를 사들이며 금리를 끌어 내리려고 노력중 그런데,바이든과 트럼프의 대선 토론 결과 트럼프가 압승이었다.국채시장에서는 트럼프가 당설될 경우 더 많은 국채 발행이 예상되어 금리가 올라갔다(TLT 하락) 주식시장이 올라가야 바이든의 가능성이 높아진다.바이든의 가능성이 높지 않으면, 주식시장은 올라가지 않는다.  금리 인하 인하의 신호는 투자자들에게 좋은 대안처럼 보이겠지만, 역설적으로 경제가 좋지 않다는 뜻이다. 경제가 좋지 않다는 신호(..
[도서]설득의 심리학2(1장 메시지보다 먼저 설득하라) 로버트 치알다니의 설득의 심리학2에서 기록할만한, 내용들이 있어 요약하고, 다양한 예시를 작성해보려 한다. 1장의 주제는 메시지보다 먼저 설득하라 초전설득(pre-suasion)(초기 설득) 미팅에서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을 하면 고객은 항상 가격을 낮추려고 한다. 그러면 먼저 높은 가격을 제시해서 낮추는 방법도 있지만, 발표자는 그것을 원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먼저 비현실적인 가격을 제시한다. '100만달러는 너무 터무지 없지요?' 하지만, 청중들은 발표를 듣는 내내 100만달러를 머리속에 생각하며 발표자가 제시한 합리적인 가격으로 수렴된다.  책에서 소개한 방법은(1) 초기 설득(2) 공감 유도(3) 앵커링 효과 이렇게 3가지의 설득 기술이 포함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예시를 작성..
미국 대선 때 주식은 어떻게?(f. S&P500) 2024년 11월, 미국 대선이 있다. 바이든은 연임하기 위해서 재정 지출을 늘릴 것이며, 경기를 부양시키려 할 것이다.그러나 시장은 다르다. 냉정하게 현실을 반영할 것이다. 2020년-바이든 취임(트럼트 패배) 9월까지 계속 올라가다가 눈치를 살피느라 10%가까이 빠졌다. 그리고 다시 올라갔다.  2016년(트럼프 취임)7월까지 더디다가 7월부터 상승이 좀 있다가 다시 낮은 증가율로 10월까지 증가하다 10월 주춤하며 눈치본다.  2012년(오바마 재선 성공)10월까지 증가하는데 9월 증가율이 0.6%, 10월에는 소폭 하락한다.  2008년(오바마 취임)대선전에 금융위기가 터졌다  2004년(부시 재선)7~9월까지 빠졌다가 다시 증가한다.   2000년(부시 취임)IT 버블이 꺼지면서 하락  결론믿거..
S&P500, 코스피 백테스트(1~12개월 이상일 때 매수) 모멘텀을 공부하면서 여러 책들을 읽고 느끼다가 직접 백테스팅 했다.우선 S&P500과 코스피 지수에 대해 백테스팅함.책에서 얘기하지 않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결과값들을 알게 되었다.  S&P500S&P500지수에 대해서 1994년 2월 1일부터 2024년 4월1일까지 테스트 하였고,1개월 ~ 12개월 주가보다 위에 있으면 매수, 아래 있으면 매도하는 방식으로 계산하였음. 여러 책들을 참고하였을 때, 12개월 전 주가를 차트보다 높을 때 매수, 12개월 전 보다 낮으면 매도했을 때를 기준으로 또 다른 무언가와 비교하였는데 내가 내린 결론(1) S&P에만 투자할 경우 이평선 따윈 계산하지 않고 그냥 장기투자 하는게 정답인 듯.그랬을 경우 31년만에 '변동x' → 10.76배가 되었다.(2) 5개월, 6개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