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트럼프 일가의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은? (f.트럼프가 암호화폐 정책을 발표하지 않은 이유)

반응형

 
트럼프 대동령과 그의 가족들은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 WLFI)을 보유 하고 있으며,
최근 그 행보에는 암호화폐의 추가 매입을 하고 있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46030

미국 대통령 트럼프,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이 산 암호화폐는? '이더리움, 트론, 체인링크' 등 468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후원하는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이 3일간 700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추가 매입하며 총 보유 자산을 3억2500만 달러(한화 약 4680억 원)로 확대했

www.blockmedia.co.kr

 
온체인 분석업체 아캄 인텔리전스(Arkham Intelligence)에 따르면,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은 지난 토요일 1555 ETH를 매입한 데 이어 몇 시간 후 추가로 6040 ETH를 확보했다. 월요일에는 △470만 달러 상당의 트론(TRX), 체인링크(LINK), 아베(AAVE), 랩트비트코인(WBTC) △230만 달러 상당의 에테나(ENA) △940만 달러 상당의 이더리움(ETH)을 추가 매입했다.
 
 
트럼프는 호텔, 골프장도 소유하고 외부 인사들이 미국을 방문할 때마다 그가 보유하고 있는 호텔로 숙박하게끔 한다. 이해충돌의 여지가 많지만 미국이라서 그런가보다 싶다.
미국에서도 아직 암호화폐 관련 규정이 마련되지 않은 만큼, 앞으로 4년의 재임기간동안 WLFI는 계속 운영할 수 있다.
 
WLFI는 주식으로 비유하면 지주회사와 같다.
여러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으며, 토큰을 발행해서 판매를 한다. 토큰을 가지고 있으면 화폐 보유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단순히 암호화폐를 보유하는 것은 수집가에 지나지 않는다. 보유한 암호화폐를 가지고 어떤 사업을 펼칠지가 중요하다.
 

① WLFI를 활용한 투자형 지주 모델 (Crypto Holding Company)

📌 예측:
WLFI가 단순한 암호화폐 보유가 아니라, DeFi 기반 투자 지주회사 모델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음.
📌 이유:

  • WLFI는 다양한 암호화폐를 보유하면서 이자 수익(Financial Yield)을 창출할 수 있음.
    • 예) AAVE, Compound 같은 DeFi 플랫폼에 예치해서 이자를 받는 구조
  • 자체 암호화폐 WLFI를 거버넌스 토큰으로 활용하면서, WLFI 보유자들이 프로젝트 투자 결정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음.
  • 만약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탈중앙화 자율조직) 형태로 운영된다면, WLFI 보유자들이 "어떤 암호화폐를 추가 매입할지" 같은 의사결정을 할 수도 있음.

📌 결과:
👉 WLFI가 다양한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암호화폐 투자 지주회사"처럼 작동하면서 펀드(Portfolio) 관리 역할을 할 수 있음.
👉 WLFI 보유자들은 프로젝트가 수익을 낼수록, 토큰의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음.
 
 

② WLFI를 활용한 디파이 생태계 구축

📌 예측:
WLFI는 단순한 투자자가 아니라, 자체적인 DeFi 플랫폼을 운영할 가능성이 있음.
📌 이유:

  • WLFI가 단순히 암호화폐를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활용해 스테이킹, 유동성 공급(Liquidity Providing), 대출(DeFi Lending) 등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음.
  • 예를 들면, WLFI를 담보로 예치해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DeFi 서비스를 만들거나, WLFI 기반의 탈중앙화 거래소(DEX)를 운영할 가능성도 있음.
  • 이미 WLFI는 자체 거버넌스 토큰을 발행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 이자 분배나 보상 시스템을 구축할 가능성이 있음.

📌 결과:
👉 WLFI가 자체적인 DeFi 금융 서비스를 출시한다면, 단순 보유자가 아니라 암호화폐 금융 생태계를 운영하는 플레이어가 될 수 있음.
👉 WLFI 토큰의 활용성이 증가하면, 자연스럽게 토큰의 가치도 상승할 가능성이 있음.
 
 

③ WLFI를 통해 정치·금융 영향력 확대

📌 예측:
WLFI는 단순한 금융 프로젝트가 아니라, 트럼프의 정치적 영향력과 연결될 가능성이 높음.
📌 이유:

  • 트럼프는 재선 이후, 미국을 암호화폐 친화적인 국가로 만들겠다고 공언함.
  • WLFI는 단순한 DeFi 프로젝트가 아니라, 정치적인 네트워크와 연결될 가능성이 큼.
  • WLFI가 트럼프 정책과 연계되면, 규제 완화와 관련된 특혜를 받을 가능성이 있음.
  • 예를 들어, WLFI 보유자들이 미국의 암호화폐 정책 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

📌 결과:
👉 WLFI가 단순한 금융 프로젝트가 아니라, 정치적 로비와 암호화폐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도구가 될 가능성이 있음.
👉 트럼프의 정책에 따라 WLFI가 강력한 "공식적인 암호화폐 정책 플랫폼"이 될 수도 있음.
 
 

📌 결론: WLFI가 나아갈 가능성 있는 3가지 방향

1️⃣ Crypto Holding Company 모델 → 암호화폐 투자 지주회사처럼 운영
2️⃣ DeFi 생태계 구축 → 스테이킹, 대출, DEX 등 암호화폐 금융 서비스 출시
3️⃣ 정치·금융 영향력 확대 → 트럼프의 정책과 연계하여 암호화폐 산업에서 영향력 행사
WLFI가 단순한 암호화폐 수집가가 아니라, 이런 방향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고, 그에 따라 WLFI 토큰의 역할도 변화할 것이라고 볼 수 있음.
 
더불어, 어제(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아직 암호화폐 정책을 발표 하지 않는 이유는 추가 암호화폐 매집을 위함이 아닐가 싶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