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의 4차 반감기가 '24년 4월에 있은 후, 그로부터 6개월 뒤가 폭발적인 상승장이 시작되는데 올해는 트럼프의 선거와 맞물려서 조금 늦게 시작했다.
현재 100k를 기점으로 힘있게 상승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시 점검이 필요해 보인다.
1. 미국경제는 안 좋을 것(→ 틀림)
이 생각은 지난 6개월동안 계속 갖고 있었고 미국 주식은 전량 매도하고 관망하기 시작했다. 반면, 금리정책 변화, 실업률 발표에 따른 우려 등으로 '24년 11월,12월은 역대급의 수익을 올렸지만, 엊그제 1월 10일 실업률이 예측치보다 더 좋게 나오면서, 국채금리 급등에 의한 주식 하락으로 운좋게 수익을 얻었다. 그러나, 이제는 아니다. 미국경제는 아직까지 좋다. 다만, 2023년, 2024년 쉼없이 달려온 주가가 밸류에 부담을 주기 시작해서 계속 좋을 꺼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2. 현재 경제지표들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4.7%넘어서 4.8%를 바라보고 있고, 달러엔덱스 109에서 110을 보고있다. 이 상황은 트럼프의 관세부과에 따른 인플레이션 증가의 우려가 많이 섞여 있으면서, 영국과 프랑스의 경제 지표가 부진하면서 상대적인 달러인덱스 상승, 미국채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막대한 국채발행 예상에 따라 국채가격이 하락하며 금리가 더 올라간 이유가 있기도 하다.
3. 당초의 계획
불가 일주일 전만해도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일 것이라고 생각함과 동시에, 옐런의 재정지출이 2~3월 인플레이션이 지금보다 더 높게 상승할 것이라 생각했고, 3월에는 비트코인을 일부 익절하고, 장기채 ETF와 jyp, 골드를 섞어 분산투자하려는 계획이었으나, 비트가 증가해주시 않는다면 시기를 3월에서 4월로 미루어야 하나 하는 생각이 있다.
- jyp 투자이유 : jyp Ent. 2025년 실적 기대해 볼만하다.
- 골드 투자 이유: 2025년 금 투자 가이드: 금 ETF, 금 주식, 실물 금 투자 방법
4. 앞으로 가능한 시나리오
(1) 트럼프
트럼프2기를 맞이하여 국정을 운영하는데 높은 장기채는 매우 싫어한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그중 하나로 높은 이자 부담이다. 1년 예산을 책정하는데 높은 금리에 따른 이자 비용이 상당하다. 이런 상황에서 1~2분기 국채 금리를 낮추려 할 것인데, 관세부과 등 인플레이션이 도래하는 상황에서 국채를 낮추기 위해서 주식을 인위적으로 하락시키는 것이다. 즉, 일부 위기가 오면 다시 국채로 수요가 있을 것이고, 금리는 낮아진다.
(2)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초기의 개인이 매수할때와는 다르게, 이제는 국가와 기업에서 매수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랠리는 트럼프 정부의 암호화폐 관련 법안과 정책 발표로 점프가 시작될 것이다. 미국을 제외한 유럽, 아시아들의 유동성은 줄어들고 있어서 대폭발하기 위한 상승의 여지가 남아있는지 궁금하다. 미국 주식은 하락하는데 코인은 상승한다?, 모든 주식들이 하락하는데 '비트코인 너밖에 없어' 이런 시나리오가 나오겠냐는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달러인덱스 109, 국채금리 4.7% 시대에, 하락보다는 상승의 여지가 더 남아 있는 상황에서 비트코인의 상승의 여지가 별로 없어 보인다. 반면, 아직도 유효한 생각으로 3월~4월에 인플레이션이 단기적 고점일 것 같고, 국채금리 역시 5%가 고점으로 보이는데, 그때가 비트코인의 저점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 이후에 국채금리는 유지or하락일 것이고, 달러인덱스 역시 더 올라가기 힘들 것이라 보며, 상대적으로 비트코인은 상승의 여지가 있어 보인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일가의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은? (f.트럼프가 암호화폐 정책을 발표하지 않은 이유) (0) | 2025.01.21 |
---|---|
2025년 1,2,3월 거시경제 예상 및 매수종목 (0) | 2024.12.26 |
jyp Ent. 2025년 실적 기대해 볼만하다. (2) | 2024.12.20 |
3개월 뒤 시장을 얼마나 맞출까(2024.11.01.기준) (2) | 2024.11.01 |
2001년부터 현재까지 금 수익률 분석 (6) | 2024.10.31 |